메뉴 건너뛰기

  • 포스트
  • admin
  • Jul 12, 2018
  • 2510

 

내가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으면, 어떻게 다른 사람을 온전히 사랑할 수 있겠으며 또한 그러한 나를 누가 사랑해줄 수 있을까요? 오늘은 '나를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인 자존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자존감(자아존중감, self-esteem)은 타인이나 외적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닌, 자기 본연에 대한 만족감과 가치감을 의미합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타인의 시선이나 평가에 전전긍긍하지 않고, 자신에 대한 신뢰와 가치관에 의하여 주체적인 삶을 살아갑니다. 그렇다면 자존감은 왜 중요하고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존감은 왜 중요한가

온전한 '나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자존감이 높다는 것은 스스로에 대한 신뢰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어떤 일을 할 때에도 나의 역량을 믿으며 가능성을 생각하고,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긍정적인 태도로 임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실패를 하게 되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다시 일어서는 회복탄력성을 가집니다. 이는 온전한 '나의 삶'을 살 수 있게 하는 큰 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만한 대인관계를 이룹니다.
자존감은 대인관계에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높은 자존감은 기본적으로 스스로가 타인으로부터 사랑을 받을 만한 사람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합니다.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에서 인정받거나 사랑받지 못할 것 같은 불안감에 회피하거나 고립되지도, 반대로 지나치게 집착하지 않으며, 독립적인 삶 속에서 타인과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자존감은 성장환경에서부터
이렇게,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자존감은 성장환경에서부터 비롯된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자존감은 크게 유전적 기질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형성된다고 볼 수 있는데요. 특히 부모와의 관계가 굉장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님들은 자녀를 양육할 때 일관된 태도를 유지해야 하고, 특정 조건에 의한 것이 아닌 존재 자체에 대한 애정과 존중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어야 할 것입니다. 

 

 

자존감을 높이려면
자존감은 노력 여하에 따라서도 향상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자존감을 높일 수 있을까요?

가장 먼저 스스로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사랑'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자존감은 나의 단점이나 보완할 점을 외면하고 과대평가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한 부분이 있음에도 자책하거나 절망하지 않고 보완하기 위해 노력함과 동시에 강점과 장점 또한 충분히 인정하고 사랑하는 것입니다.

특히 부모님들은 자녀에게 유연하고도 일관적인 태도를 보이고, 무엇보다 긍정적으로 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녀는 부모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부모님의 작은 행동 하나, 말 한 마디에 자녀의 자존감이 크게 좌우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http://naver.me/GUUMT3GM

 

 

출처 : 용인정신병원 공식 네이버포스트 https://post.naver.com/yongin_mh

목록
제목 날짜
[2024년] 병동 회복담당 .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채용공고 2024.01.23
2024년도 정신건강간호사 2급 수련생 모집공고 2023.12.06
2024년도 전공의 모집 요강 2023.11.29
2024년 신규간호사 모집 공고 2023.10.23
2023년도 3교대 보호사 채용 공고 2023.09.20
2023년 3교대 간호사 채용공고 3 2023.07.21
용인서부경찰서 -용인정신병원 업무협약식 체결 2022.05.13
의료법인 용인병원유지재단 - 아리랑국제방송 사회공헌활동 강화를 위한 MOU 체결 2020.11.20
의료법인 용인병원유지재단 – 용인 세브란스병원 협력병원 협약 체결 2020.11.20
[네이버포스트] 건강염려증(질병불안장애), 건강에 대한 지나친 걱정   2018.10.04
[서울경제TV] 겐트대학교-용인병원유지재단 의료학술 시너지 낸다   2018.10.04
[헬스경향] 불면증, 과연 수면제 없이도 좋아질 수 있을까?   2018.10.04
[네이버포스트] 몽유병, 단순한 잠꼬대일까?   2018.09.27
[네이버포스트] 공황장애, 두렵지 않은데 두렵다   2018.09.21
[네이버포스트] 은둔형 외톨이, 세상이 두려워   2018.09.18
[네이버포스트] 아동 ADHD, 아이의 잘못이 아니다   2018.09.10
[네이버포스트] 우울증, 연령별로 다른 증상들   2018.09.04
[네이버포스트] 폭식증(신경성 폭식증), 음식 앞에 무너지다   2018.08.31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